주기도문 마지막_송영 (마 6:9-13)
(마 6:9-13) “9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10 나라가 임하시오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11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12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 13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 다만 악에서 구하시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오늘은 주기도문 마지막 말씀입니다. 오늘까지 해서 여덟 차례에 걸쳐서 하나님의 말씀을 나누게 됩니다. 첫 시간에는 주기도문의 서론으로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라는 말씀을 통해,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는 하나님이 누구신지에 대한 말씀을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여섯 번에 걸쳐 주기문의 중심 기도인 여섯 가지 간구의 내용을 차례대로 나누었습니다. 여섯 가지 간구는 크게 두 부분을 나눌 수 있습니다. 전반부는 하나님을 향한 기도이며, 후반부는 우리의 필요를 위한 기도입니다.
하나님을 부름-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전반부 세 간구는 하늘을 행해 있습니다.
① 그의 이름- 이름이 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② 그의 나라- 나라가 임하시오며
③ 그의 뜻-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후반부 세 간구는 땅, 즉 인간을 향해 펼쳐져 있습니다.
④ 우리의 양식-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⑤ 우리의 용서-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
⑥ 우리의 구원-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 다만 악에서 구하시옵소서
송영 -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이 시간 나눌 말씀은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이라는 부분입니다. 이 기도는 여섯 가지 간구를 다 마친 후에 드리는 송영(煩榮)의 기도입니다. 송영(頌榮)은 기독교 예배의 시작과 마지막에 들어가는 기도 형식의 송가입니다. 이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부분입니다. 하나님 앞에서 진정으로 믿음으로 여섯 가지 간구를 드렸다면, 이제 그 간구에 응답하실 하나님께 주체할 수 없는 찬양과 감사가 터져 나오게 되는 당연한 일인 것입니다. 첫 기도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기도였듯이, 기도의 문을 닫으면서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은 어쩌면 당한 일일 것입니다.
가운데 말
송영의 내용은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째로 “나라가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둘째로 “권세가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셋째로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입니다.
1. 나라가 영원히 하나님 아버지의 것입니다
1) 나라는 하나님 아버지의 것입니다.
주기도문의 마지막 부분인 송영에서 다시금 나라가 하나님의 것임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이 고백은 세상 나라가 아닌 하나님께서 통치하시는 하나님의 나라가 있음을 고백하는 기도입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세상을 통치하시는 진정한 왕이십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온 우주의 주권자입니다. 하나님께서 온 우주를 통치하고 계십니다. 하나님께서 인류를 다스리고 계십니다. 세상 나라는 유한하며 언젠가는 무너질 것이지만 오직 하나님의 나라는 영원하며 영원토록 견고히 서게 될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통치하시는 진정한 왕이십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인들뿐만 아니라, 심지어 불신자들의 삶까지라도 통치하고 계십니다. 하나님께서는 타락한 세상, 거역하는 세상까지라도 통치하시는 왕이십니다. 하나님의 통치권은 심지어 사단 마귀 귀신들까지도 미치고 있음을 성경은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욥을 시험하는 사단은 단지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범주 안에서만 활동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 사단은 하나님께 반역했고, 여전히 반역의 일들을 도모하고 있지만, 그는 여전히 절대자이신 하나님 안에서 벗어날 수는 없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절대 주권자라는 사실은 엄청난 진리입니다. 사실 하나님께서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을 뛰어넘는 엄청난 분이시기에 하나님에 관한 진리 또한 엄청난 것입니다.
<적용>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여러분은 날마다 마음 깊은 곳에서 “나라가 아버지께 영원히 있습니다.”는 고백을 가지고 사십니까? 세상 나라는 자신의 권력을 자랑하고, 충성을 요구하고, 위협하기도 하지만, 결코 영원할 수 없으며, 언제가 사라져버릴 나라에 불과하다는 것을 믿으십니까? 진정한 왕은 오직 하나님이시며 영원한 나라는 하나님 나라이심을 믿으십니까? 만약 우리가 이것에 대해 철저하게 고백하지 못하든지, 어느 한순간 우리의 시야가 왕이신 하나님께 눈을 떼고 세상의 왕을 쳐다봄으로 두려워하기 시작한다면 우리는 그들에게 지배를 받게 되고 마는 것입니다.
<소결론>
“나라가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라는 고백을 진정으로 하게 될 때, 우리는 세상의 왕들의 위협 앞에서 자유롭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고백을 가지고, 믿음의 삶 승리의 삶을 산 사람들이 있는데 바로 순교자들입니다. 세상은 하나님께 충성하기 위해 자신의 나라에 충성하기를 거절한 수많은 사람들은 죽였습니다. 그들은 세상 나라의 위협 앞에서 신앙의 절개를 잃지 않았으며, 폭력으로 악에 저항하지도 않았고, 오직 하나님만을 신뢰함으로 순교자의 길을 걸어갔습니다. 순교자들은 비록 세상의 눈에는 무력한 희생자처럼 보였겠지만, 사실은 세상 나라가 진정한 나라가 아니며, 세상의 왕국이 영원한 왕국이 아님을 몸소 보여준 사람들이었습니다. 세상의 왕들은 이들의 목숨을 위협하고 실제로 빼앗기도 했지만, 이들은 영원한 하나님 나라를 보았고,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 충성을 바쳤던 것입니다. 이들이 걸어간 순교의 길은 세상 나라가 마치 자신의 나라가 영원할 것처럼 으스대며, 폭력을 행사하며, 복종을 요구하고 있지만, 그것인 진실이 아님을 명백하게 보여준 것이었습니다. 순교자들은 세상 나라의 거짓말을 강력하게 폭로한 사람들입니다. 순교자들은 바로 나라가 영원히 아버지께 있음을 보여준 사람들입니다. 순교자들은 하나님 나라의 실체를 사람들에게 일깨워 준 사람들입니다. 순교자들은 하나님 나라의 실체를 명확하게 알았기에 세상의 정사와 권세와 맞설 수 있을 만큼, 힘 있는 삶을 살았습니다.
...
...
2. 권세가 하나님의 것입니다.
1) 권세가 하나님의 것입니다.
이 송영이 두 번째로 선언하는 것은 “권세가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라는 것입니다. “권세”에 해당하는 “두나미스”는 “능력, 힘, 세력”을 뜻하며, 육체적 일이든, 정신적 일이든, 군사적 일이든, 정치적 일이든 간에 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해 어떤 사람 혹은 어떤 것이 지니고 있는 본래의 능력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나라가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라는 것은 하나님의 통치를 말씀하는 것임을 나누었습니다. 하나님의 다스림을 말씀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통치하시기 위해서는, 다스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권세가 있어야만 합니다. 하나님께서 온 우주를 다스리시고 인류의 온 역사를 다스리시고, 그리스도인들뿐만 아니라, 불신자들, 심지어 악한 세력들까지 다스리신다는 것은 결국 하나님께서 모든 권세를 한 손에 다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무도 헤아릴 수 없는 모든 권세를 다 가지고 계십니다.
2) 권세가 하나님께 있음을 고백하면서 살아가는 것은 하나님이 모든 것을 하실 수 있으심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3. 영광이 하나님의 것입니다.
주기도문의 송영이 마지막으로 선언하는 것은 “영광이 당신께 있습니다”라는 것이다. “영광”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독사”입니다. “독사”는 “영광”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독사”는 성경에서 사람에게 표하는 “경의, 영예”의 뜻으로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고, 하나님께 바치거나 드리는 “a) 영광, b) 영예”의 뜻으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특별히 이 “독사”는 하나님께 응답하는 사람만이 알 수 있는 하나님께 속한 특성을 말하며, 그의 인격의 빛나는 현현, 그의 영화로운 자기 계시를 뜻합니다.(참조, S. Aalen) 하나님의 영광은 하나님의 목적과 뜻이 성취되는데서 오는 찬양입니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 모든 창조의 목표입니다. 성경은 만물의 존재 목적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장로교 요리문답 가운데 첫째가 “사람의 제일되는 목적이 무엇이뇨?” “사람이 제일 되는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과 영원토록 그를 즐거워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인간의 제일 된 목적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그를 영원토록 즐거워하는 것입니다.
<소결론>
그러므로 우리는 “영광이 아버지께 있사옵나이다”라고 기도함으로, 우리의 모든 삶을 통해서 오직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시기를 기도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매일 이 기도를 드림으로 우리에게 오는 명성을 거절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은 “거짓된 것은 마음”이어서 (예레미야 17:9) 독실한 신앙심으로 유명해지기를 원합니다. 이 마음은 교묘하며 치명적인 것입니다.
4. 영원히
이 고백은 “영원히”라는 단어의 첨가로 강조되어 있습니다.
“영원히”는 우리의 경배를 끝내는 놀라운 말씀입니다. 우리가 주기도문의 끝에 “영원히”라고 말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불멸성을 알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영원하십니다.
<소결론>
여러분이 하나님의 나라, 권세, 영광이 “영원하다”고 고백할 때 여러분은 주기도문을 외우는 분의 영원한 속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여러분이 하나님은 “영원하다”라고 인정할 때 여러분은 여러분의 요청을 하나님의 영원한 계획, 목적과 동일시하는 것이다.
여러분이 여러분의 기도를 “영원히”로 끝맺을 때 여러분은 주기도문에서 영원한 결과를 구하고 있는 것이다.
5. 아멘
기도문은 “아멘”으로 끝을 맺는다. 송영을 끝맺는 "아멘" 이 쓸데없이 폼으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 말은 히브리 어법으로 보면, “그렇게 되도록 하라” 또는 “그렇게 되기를 원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이 말은 보다 강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이 말은 “이 모든 것이 반드시 그렇게 될 것을 확신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말은 신앙과 확신의 말이다.
주기도문 전체 결론
주님은 자신을 통해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드려지는 모든 기도에 영감을 주시고 응답하십니다. 가장 빈약한 기도라도 진심으로 아버지를 구하는 마음에서 나온다면, 그리고 죄를 자백하며 구원과 순결을 구한다면, 나아가 자기 아들을 보내신 하늘 아버지의 큰 사랑에 감격의 눈물을 흘리면서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가 아바 아버지라 부르짖기를 소원한다면 그 기도를 주님은 '이렇게'드리는 기도로 인정하실 것입니다. 할렐루야, 하나님을 찬양하라. - 아멘 -
'성경과 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한 마음 _ 세상에는 마음이 상한 자들이 울부짖고 있습니다. (0) | 2024.01.12 |
---|---|
내 안에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도록 기도하라! (0) | 2024.01.12 |
주기도문 여섯번째간구_ 보호를 위한 간구(마 6:9-13) (0) | 2024.01.10 |
주기도문 다섯번째 간구_ 죄사함을 위한 간구 (0) | 2024.01.10 |
주기도문 네번째 간구_ 양식을 구하는 기도 (0) | 2024.01.10 |